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이야기

노후에 가난하지 않으려면 세대별로 알아보는 노후준비는??

by lululallal 2021. 11. 26.
728x90
반응형
SMALL

말로만 듣던 100세 시대가 현실로 다가온 지금. 노후준비 후 맞는 노년과 아무 준비 없이 맞는 노년의 삶의 질이 확연히 차이가 날것이다. 나의일과 자유를 보다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싱글족으로 살아남기 위한 노후준비는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지 세대별로 체크해보자.

 

 

 

 

 

 

1. 노후 준비 20~30대 싱글족

20~30대 젊은 층은 힘들어진 취업에 비해 점점 상승하는 물가 때문에 결혼자금에 대한 불안이 큰 편입니다. 그로 인한 미혼과 만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노후준비는 어디부터??

누구보다 유행에 민감한 20~30대는 소비성향이 가장 높을 시기죠. 요즘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유행에 뒤쳐질세라 사야 할 것도 많고 친구들과 같이 해야 하는 놀이 문화도 넘쳐나는 요즘 같은 시대에 어느 정도의 소비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해요. 무엇도 구애받지 않고 내 맘대로 살 수 있는 유일한 시기이기에 맘껏 나에게 투자하는 건 맞지만 그 소비가 오로지 유흥과 과소비로만 쏠리면 안 되겠죠. 얼마를 벌던 소득의 40~50%로는 저축으로 묶어두시고 그 나머지를 균형 있게 잘 소비하는 습관을 만드세요. 50~60%의 소비 중에도 고정으로 나가는 지출과 변동의로 나가는 지출을 따로 관리하는 게 좋아요. 40~50%의 저축은 재테크를 위한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고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죠? 1억 정도는 확보해야 한다고 목표를 잡으세요. 한 한 가지 20대부터 실손의료보험을 들어야 합니다. 왜?? 나이가 적을수록 험비가 싸지기 때문입니다.

 

 

 

 

2. 노후 준비 30~40대 싱글족

30~40대엔 이혼과 사별을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여러 가지 이유로 비혼을 선택하는 분도 계시죠. 노후를 위해 더 보충해야 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사실 은퇴 후 월 현금흐름을 300~500만 원 만들기 위해선 직장인은 가능한 회사에 오래 남아서 퇴직금을 높여야 한다는 거, 그 퇴직금을 연금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거 다들 알고 계시지만 맘 같지 않게 힘들죠. 요즘은 특히나 평생직장이라는 게 없어졌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프리랜서라는 일이 너무나 다양하고 많아졌죠. 프리랜서라면 개인연금저축을 들어놔야 하고 불입액을 높여서 저축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시드머니로 투자를 하셔서 자가주택을 반드시 마련해 자산을 증식하거나 월세 수입도 노려볼 수 있어요.

 

 

 

 

3. 노후 준비 50대~ 싱글족

자산과 소득의 연금화로 지속적으로 월 현금이 나올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좀 더 적극적인 노후를 계획해야 한다. 회사에 다니신다면 은퇴 전에 대출 차액금을 모두 상환하도록 하셔야 합니다. 월 100만 원이라도 평생 직업을 만들어야 한다는 고민을 하셔야 해요. 50대라면 아직도 현역이므로 있는 자리에서 더 깊숙이 노후준비를 하셔야겠죠. 이를테면 국민연금이 체납 상태라면 다시 살리셔서 납부를 이어가시는 게 맞고요. 중간에 정지상태라면 그동안 못 부은 만큼 목돈을 상환하시더라도 나중에 받을 연금은 훨씬 크기 때문에 꼭 하루라도 빨리 살리셔야 합니다. 납입 기간이 길면 길수록 연금률이 높아지므로 꼭 국민 연금과 상담해보세요.

 

60대 이후부터는 기존 저축해왔던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을 적극 활용하세요. 소유하고 계신 주 택또 한 어차피 싱글이니까 상속의 문제는 배제되므로 주택연금에 가입해 주거와 동시에 죽을 때까지 연금으로 생활비를 확보할 수 있어요. 또한 혼자이므로 제일 중요한 게강문제죠. 암보험, 실손보험, 치매와 간병비 보험은 꼭 들어야 해요. 병원에 입원했을 때 자식이나 식구가 있는 사람조차도 각자의 일로 바쁘기 때문에 무조건 간병인을 두어야 한다고 보셔야 해요. 간병비가 어마어마하더라고요.

 

 

 

 

728x90

 

 

 

여기서 잠깐!! 별도의 노후준비가 있어요. 바로 외로움과 고독에 대처하는 준비입니다. 꾸준한 사회활동과 취미활동으로 건강과 인간관계를 위해 사람과 교류가 중요합니다. 재취업을 할 수도 있고 무언가를 배우며 새로운 지식 얻는 것에 대한 기쁨을 얻을 수도 있고 내가 가진 재능과 시간 체력을 활용한 봉사활동도 활력을 얻으실 수도 있어요. 물론 종교활동도 크게 내 생활의 활력소가 되겠죠. 싱글족들의 최대 장점은 자유인데 반해 최대 단점은 사회적 고립일 수 있기에 젊을 때부터 노후를 대비해 사회적 관계망에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지자체에 1인 가구 서비스를 확인해서 여러 프로그램을 활용해보세요. 밑에 링크로 들어가시면 1인 가구를 위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정리해두었어요. 참조해보세요. 

 

 

 

 

 

 

나혼자산다. 1인가구가느는 원인& 정부지원주택.정부복지정책

우리나라 기본정책은 4인 가구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인구구조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부터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추진 중이다. 1인 가구 급증 원인과 정부지원주택정책 및 복지

sololife888.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