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이야기

새롭게 바뀌는 임신 출산 장려금과 정부 지원들

by lululallal 2022. 1. 5.
728x90
반응형
SMALL

2022년 새롭게 바뀌는 국가정책 중 하나로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출산지원금과 임산부 혜택이 많이 늘었습니다. 자동으로 혜택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신청을 해야만 주어지거나 늦게 신청할 경우 혜택 기간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으니 해당이 되시면 꼭 확인해보시고 신청해 보세요.

 

 

 

 

 

1.첫 만남 이용권

첫 만남 이용권은 2022년 새롭게 신설되는 제도로 아이를 낳게 되면서 여성들의 경력단절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마련한 정책입니다. 아이들을 양 육하기 위한 국가적 집중 투자사업인 것입니다. 2022년 1월 1일 출생한 아이로 1인당 200만 워 쌍둥이는 400만 원의 바우처를 받게 됩니다. 아이를 출산하고 주민등록번호를 발급받으면 국민 행복카드(바우처)에 일시금으로 충전됩니다. 읍. 면. 동 주민센터로 방문하거나 온라인 정부 24로 신청 가능하며 1년 내에 유흥업소를 제외한 아이와 관련된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임신과 출산에 관한 의료비 바우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의료비 바우처도 기존 60만 원이었던 것을 100만 원으로 오른다고 합니다. 사용처는 치과와 약국까지 넓혀 모든 의료비에 사용 가능하고 2년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2021년에 임신을 했다 하더라도 2022년에 발급받으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신생아 수당과 아동 수당

신생아 수당이라고 2022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생후 24개월 이내 아동에게  2년 동안 매달 30만 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2022년 1월부터 만 8세 미만 아동까지 매월 10만 원씩 지급하는 아동수당도 체크해 보세요.

 


그 밖에도 3+3 부모 육아 휴직제도라고 생후 12개월 미만 자녀가 있는  부모가 육아휴직을 동시에 내거나 순차적으로 쓸 땐 순차적으로 3달간 육아휴직 급여를 통상임금의 100%까지 지급하는 제도도 시행됩니다. 첫 달에는 부모가 200만 원, 둘째 달에는 250만 원, 셋째 달에는 3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3개월 후에는  통상 임금의 80 % 을 지급합니다.

 


출산 후 1년 이내 산모나 임신상태 임산부에게 지원되는 농산물 꾸러미 지원 정책은 12개월간 48만 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을 지원합니다. 4만 원의 농산물 구입 시 20% 값만 본인 부담하고 나머지는 정부 지원해주는 방식입니다. 가까운 주민센터나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 영아가 있는 가정에 월 전기 요금을 30% 할인해주는 정책으로 신청은 한전 고객센터나(123번) 한국 전력 사이버지점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산모와 배우자의 건강 보험료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되는 가정에 산후 도우미를 지원합니다. 출산 예정 40일 전부터 출산일 30일 이내 가정은 보건소나 인터넷 복지로 신청 가능합니다.


728x90

 

 

 

 

만 6세 미만 영유아. 임산부(출산 후 6주까지), 출산부(출산 후 6개월까지), 수유부(출산 후 12개월까지)에게 지원되는 영양플러스 사업은 기준 중위소득 80% 가정에 지원됩니다. 식생활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식품 패키지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보건소에 임신 출산 증빙서류, 등본 등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상 새롭게 바뀌는 임신 출산 장려금과 그 밖의 정부 지원 혜택들 알아봤습니다. 꼭 챙겨서 신청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