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은 꿈을 많이 꾸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꿈을 잘 안 꾼다는 사람이 있지만 잘못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꿈은 밤마다 자다가 누구나 똑같이 꾸지만 기억을 하고 못하고의 차이일 뿐입니다.
1. 꿈을 꾸는 시간
우리의 수면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자면서 눈알 즉 안구를 좌우로 빠르게 움직이는 수면이 있습니다. 이것은 REM(Rapid Eyeball Movement) 수면이라고 불리는데 이 수면 기간에 주로 꿈을 꿉니다. 다른 하나는 1~4까지의 단계가 있는 non REM 수면입니다. 이 시간에도 꿈은 꾸지만 그냥 스쳐 지나가는 한 장면 일뿐이고 내용이 있는 수면은 REM 수면입니다. 수면을 취하고 90분 후부터 REM 수면이 처음 나타나고 시간이 흐를수록 길어지고 새벽이 되면 아주 길어져 보통 새벽에 꿈을 많이 꾸게 됩니다. 하룻밤에 누구나 3~4개의 꿈을 꾼다고 합니다.
2. 정신의학에서 의사들이 꿈을 의미 있게 보는 이유?
꿈이란 어떤 신비로운 현상이 아니라 마음속에서 생각하는 바를 그려 내는 그림과 같은 것으로 정신의학과 의사들은 꿈 분석을 통해서 깊숙한 내면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꿈속의 나를 보면서 그것이 내 속 마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라는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는 자신의 꿈을 분석해서 꿈의 해석이라는 책을 100년 전에 펴낸 정신 분석의 창시자입니다. 그는 히스테리 환자를 관찰하고 최면술을 행하면서 인간의 마음에는 무의식이 존재한다고 하였습니다. 정신과 의사들은 치료 중인 환자를 보면서 환자 스스로는 많이 좋아졌다고 해도 같은 꿈을 여전히 꾸고 있다고 하면 의사는 아직 다 치료가 안됐다고 결론을 내릴 만큼 꿈을 중요시합니다. 때로는 환자 상태가 나아졌을 때 그 변화가 꿈에서부터 시작되기도 합니다.
3. 꿈은 중요한 상황 앞에서 우리에게 검토할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꿈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자다가 꾸는 꿈을 될 수 있는 대로 필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적다 보면 떠오르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연상입니다. 이렇듯 자유 연상을 통해 분석된 꿈을 보면 꿈은 우리에게 마음속 깊은 곳의 비밀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인생에 있어서 귀중한 경고를 하기도 하고 걱정거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기도 하는 등 많은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반복적인 꿈을 꾼다는 것은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현실에서 그 문제가 해결이 되면 더 이상 반복되던 그 꿈은 꾸지 않게 됩니다. 자신의 현재 마음 상태. 처한 상황. 문제. 중요한 계약이 있을 때 등 꿈이란 것은 우리에게 흘려보내지 않게끔 드라마틱한 형태로 묘사해서 다시 한번 검토할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지몽이란 것 또한 어느 날 갑자기 미래를 보는 식의 꿈이 아니라 평소에 우리가 인지하지 못 한중에 보았었고 들었었던 것들이 뇌에서 종합해내면서 꿈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꿈은 너무 무시해서도 안되고 꿈 자체로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내가 평소에 가지고 있는 생각을 조금 과장되게 해서 형상이 그려지는 것일 뿐입니다. 꿈해몽 책의 해몽 또한 정신과에서 보는 전체적인 틀에서 대략적으로 맞지만 꿈이란 것은 개개인적인 특수함을 띄고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느것이 좋습니다.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방 신발을 잃어버리는꿈.잃어버린 가방 신발 되찾는꿈 (0) | 2022.06.06 |
---|---|
오직 자신만 사랑하는 나르시시즘 (Narcissism).나르시시스트 (0) | 2022.05.26 |
호흡기 질환과 호르몬등에 도움을 주는 아로마 천연오일은? (0) | 2022.05.05 |
근육통증 완화에 좋은 아로마 오일 활용법 (1) | 2022.05.04 |
숙면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오일 종류와 활용법 알고 쓰자. (0) | 2022.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