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슐랭 가이드는 1831년 설립한 프랑스의 타이어 제조 회사인 미쉐린(Michelin)이 매년 봄 발간하는 식당 및 여행 가이드 시리즈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숙박시설과 식당에 별점 매기는 가이드는 레드가이드로 분류됩니다.
1.미슐랭이 만들어지기까지
미쉐린 가이드를 탄생시킨 앙드레 미슐랭은 당시 내무부 지도국에 근무하던 중 프랑스를 여행하는 운전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주자는 취지 아래 무료로 배포되는 여행. 식당정보 안내서를 펴냈습니다. 앙드레 미슐랭은 바로 세계 최초로 분리 조립되는 타이어를 발명하여 미쉐린 타이어 회사를 만든 에두아루 미슐랭의 형이었기 때문에 1900년 미쉐린 타이어에서 타이어를 구매하는 구매고객에게 도로법규나 주유소 위치 등이 안내되는 책자를 무료 배포하게 된 것입니다. 그 정보가 갈수록 호평을 받으며 1922년부터 유료 판매를 시작했고 100년의 세월 동안 엄격한 정보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명성을 쌓아 오늘날 미식가들의 성서와 같은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2.미슐랭 가이드 선정방법
미슐랭 가이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식하는 숙박시설과 식당에 별점을 주는 레드가이드와 박물관이나 자연경관 등 관광정보를 제공해주는 부록 형태의 그린가이드로 나뉩니다. 가이드의 평가원은 요식이나 호텔업계에 경력이 있는 미쉐린사의 정직원으로 평범한 손님으로 가정해 한 식당을 1년 동안 5~6차례 방문해 직접 시음하고 평가를 내리는데 요리 재료의 수준. 요리법과 풍미에 대한 완벽성. 요리의 개성과 창의성. 가격에 합당한 가치. 전체 메뉴의 통일성과 맛의 일관성 등을 기준으로 별을 부여하게 됩니다. 가이드에서는 식당의 분위기와 서비스 식기는 별점에 고려사항이 아닙니다라고 공지하고 있을 정도로 맛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 예로는 싱가포르 레드가이드에서 1.85달러짜리 치친과 누들을 파는 노점이 별점을 받은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좋아하는 맛이나 음식의 호불호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미슐랭의 별 때문 에라도 먹게 되고 보통 소비자는 본인 주관과는 무관하게 맛있다는 심리적 만족과 인정을 느낄 여지가 있다는 비판과 미슐랭이 아무래도 프랑스 회사다 보니 프랑스 내부나 서부 유럽에 한해서 자주 조사가 이뤄지는 등 가이드에 나오는 도시나 국가가 적어 가이드의 주요 목적은 문화제국주의의 도구라는 비판의 소리도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3. 미슐랭 별점의 의미
맛이 훌륭한 식당에는 미슐랭 가이드에 선정되고 별점이 매겨지는데 별의 가치를 들여다보면 별한 개(*)는 해당 지역을 방문하면 들려볼 가치가 있는 요리가 훌륭한 음식점이라는 뜻이고 별 두 개(**)는 본래의 목적지에서 다소 떨어진 지역이라도 길을 돌아서 방문할 가치가 있는 요리가 훌륭한 음식점이라는 뜻입니다. 마지막으로 별 세 개(***)는 오직 이 음식점을 방문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해당 지역을 여행할 가치가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별 한 개만으로도 가계의 매출이 평생 보장받을 정도이므로 별을 한번 받았다고 끝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재심사를 통해 재고의 여지가 있으면 벌을 박탈당할 수도 있습니다.
레드 가이드는 중국의 (홍콩/마카오/상하이). 일본의(도쿄/오사카/교토)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에서 4번째로 2016년 대한민국 서울 편이 공개되었으며 그린가이드의 경우 2011년에 이미 발간되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과 높은 자살률 개고기 문화에 대한 오해. 화려한 밤문화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통증 완화에 좋은 아로마 오일 활용법 (0) | 2022.05.04 |
---|---|
숙면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오일 종류와 활용법 알고 쓰자. (0) | 2022.05.03 |
베이킹소다의 다양하고도 알찬 활용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08 |
번거로운 욕실청소.가스렌지청소엔 이것만한건 없습니다. (0) | 2022.04.07 |
옷의 얼룩이나 찌든때 빼주는 방법 (0) | 2022.04.06 |
댓글